리뷰/IT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500gb 구매/ asus prime x470 pro보드에 장착시 유의점

주야__ 2023. 1. 30. 02:06
반응형

몇 가지 이유로 인해 메인 데스크탑의 ssd를 교체하기로 했다.

사실 조금만 참으면 되는 불편함이긴하지만 최근에 돈이 꽤 생겨서 가성비있게 500기가 짜리로만 하나 구입을 했다.

가격은 택배비포함 71,500원


주말에 집에 가면 노트북으로 모든 걸 다 하는데 그동안은 안쓰던 노트북을 듀얼모니터용으로 사용하다가 그 노트북이 아빠 친구분께 넘어가면서 다른 노트북이 필요했는데 노트북은 있지만 ssd가 없어서 새로 하나 사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그냥 제일 싼거 120기가짜리만 샀어도 되었을텐데 괜히 데스크탑에 있는 2.5인치짜리 ssd를 nvme로 바꾸고 싶어서 하나 구매를 했다. 노트북이 nvme인데 그냥 sata보다는 훨씬 낫다는 걸 겪어서이다. 딱 두가지가 체감이 되는데 부팅속도와 대용량파일 전송 속도이다. 초단위로 보면 얼마 차이가 나지 않겠지만 그래도 부팅이 1초라도 빠른게 제일 크게 체감이 된다. 

 

 

택배박스안에 뽁뽁이와 함께 제품이 들어있다. 필요는 없었지만 ssd고정용 볼트도 2개가 들어있다.

 

설명서 2개와 제품이 들어있는 미니박스가 있다.

 

박스 안에는 별다른 것 없이 ssd가 들어있다.

 

이제 제품을 데스크탑에 장착만 하면 된다

참고로 내 데탑이 옛날제품이라 PCIe 4.0을 지원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굳이 비싼 ssd가 아니고 3.0만 지원하는 제품 중에 가장 빠르고 DRAM까지 탑재한 이 제품을 고른 것이다. 만원정도 싼 삼성의 980도 있지만 속도가 이제 약간 더 빠르고 삼성껀 DRAM리스이기때문에 이 제품을 골랐다.

사실 이정도 성능의 ssd에서 디램이 딱히 체감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 많은데 만원 차이면 그냥 디램이 있는걸 고르는게 나을 것 같다..

후면 케이블 탈거하기 귀찮아서 그냥 세워놓고 장착한다고 좀 힘들긴 했으나 이정도는 이제 나에겐 너무 쉬운 작업이 되었다. 윈도우를 설치하자마자 속도측정부터 해보았다.

 

글 쓰면서 알아챈건데 속도가 좀 이상하다.

스펙상 읽기쓰기가 3000MB/s정도 나와주어야 하는데 2000도 안나오는건 뭐지...

혹시 내 컴퓨터가 PCIe 3.0 x4 가 아닌 2배수만 지원하는건 아닌지 확인을 해 보아야 겠다.

그때 스펙상 4배수와 2배수 모두 있었는데....

 

 

 

검색해보니 바로 나온다

m.2슬롯이 두개가 있었던 것이다. 내가 알고 있고 ssd를 장착한 슬롯은 아래에 있는 슬롯이고 그동안 몰랐는데 방열판 아래에 m.2슬롯이 하나 더 있고 심지어 그게 메인이라고 한다;; 지금 보니까 m.2 히트싱크라고 적혀있다... 멍청하게 엉뚱한데 장착을 한 것이다. 그동안 그냥 칩셋 방열판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내일 다시 장착해야지

 

 

저장장치에 PCIe가 왜 두가지지 싶었는데 이제 알게 되었다.

역시 난 아직 한참 멀었다..

내일 속도측정은 다시 하고

부팅시간도 비교해보고싶은데 같은컴퓨터로 비교해야 정확할건데 다시 윈도우를 설치하는건 너무 귀찮아서 안 할 듯 하다...

반응형